mint21

Lifestyle

MicroVision, Inc. (MVIS)

February 02, 2021


포드와 구글의 자율주행 동맹 발표

Mvis가 구글과 포드에서 최근에 임원 한명씩을 영입

Mark Spitzer 2020년 6월영입: 구글 임원 출신 - 구글 스마트 글래스 프로젝트 총괄, 구글 X 하드웨어 부문 총괄 임원

Judy Curran 2020년 12월영입 : 포드 임원 출신 – 드라이빙 어시스트 시스템 ,  자율주행 연구소 총괄 임원, 현 ANSYS 소프트웨어 자율주행 부문 총괄 임원

MVIS 기술 리스트와 구글/포드의 기술궁합
1.AR 스마트 글라스 디스플레이 모듈 – 구글 스마트 글라스
2. Interactive projector (터치스크린 프로젝터) – 구글 스마트 스피커, 구글 스마트홈 시스템
3. Consumer 라이다 – 구글 스마트홈 시스템
4. Automotive 라이다  - 포드/웨이모 자율주행
5. PicoP Projector (초소형 프로젝터) – 포드 차량용 울트라 HUD (실제 mvis와 포드의 HUD 개발 협업 이력 있음)

회사명은 마이크로비전 mvis - 이하 마비로 호칭한다.
마비는 레이저만 30년째 연구하는 회사다. 많은 연구회사들이 그렇듯 30년동안 매출은 별로 없고 연구비는 나가다보니 항상 적자였던 회사다.

1. 올해 2 ceo 임명. 회사 판매할것이라 발표

구글 엔지니어 출신 인도인 ceo 새로 오자마자 회사 판매를 천명했다. 그동안 운영이 엉망이었고 기술은 있지만 매출도 부진했고 앞으로 좋은 타이밍을 만났지만 마비 기술이 본인들보다 회사가 가져가야할 기술이라고 판단했단다.

2. 회사에서 메인으로 밀고있는 품목은 2가지이다. 마이너한것들도 몇개 있는데 가장 핫한건 2.

AR 디스플레이 모듈

자율주행 LIdar

AR모듈은 마소의 홀로렌즈2 미군에서 진행중인 프로젝트 IVAS 들어가는것으로 추정중이다.

회사에서 공식적으로 이부분은 언급은 못하고 있다. 비밀유지협약이 되어있어 말을 못하고 있는데 어떤 용자가 본인이 직접 홀로렌즈2 사서 뜯어보고 디스플레이 모듈에 mvis 로고 찍혀있는거 찾아냄. 유튜브에 mvis쳐보면 teardown 영상 바로 나온다

IVAS 육군이랑 마소와 진행중인 프로젝트인데 밀리터리 고글이다. 야간용 투시고글 +AR고글인데 사용 후기가 쩐다. 배틀필드 플레이 하는거 같다고 하더라. 최근 뉴스에도 나오기 시작하고 있고 미의회에서 예산 서명해주기 직전이라 얘도 호재다.

앞으로 육군 아니라 해병대 공군 해군 등에서도 진행할거라 추정된다.

이게 호재냐면 단순 매출증대 아니라 육군에서 마소한테 서플라인체인 관리 확실히 하라고 지시가 나왔다. 뭔말이냐면 핵심 디스플레이 회사를 다른회사가 인수해가게 놔두기 어렵다는 말이다. 물론 회사간 어떤 계약이 되어있는지 밝혀진게 없어서 다른회사에 인수합병 되도 문제는 없을지 모르지만..

아무튼 홀로렌즈2 IVAS 두가지 이슈로 인해 마소에서 인수 할거라는 설이 가장 크다.

3. 6월달에 구글 글래스 프로젝트 담당하던 임원을 영입해옴. AR 분야의 레전드인 전문가. 브라운대학교 광학 박사출신. 현역이 아니고 은퇴했었는데 마비 ceo 인연이 있는지 은퇴한놈 콜옵션 3만주 주고 데려옴. 옵션가격이 아마 1.5달러 엿나 1.7이었나 될거다.

4. 최근 몇주전에 ford에서 30 근무 + 최근 ansys라고 하는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회사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부서 당담 임원을 마비 임원으로 모셔옴. 대부분 라이다 회사나 자동차 회사에서 자율주행 시뮬레이션에 ansys프로그램을 사용중이고 회사의 자율주행 담당하던 임원이 마비로 왔다는건 마비 라이다가 제법 미래가 있다라는 증거라( 본다.

이분도 콜옵 3만주 받고 왔고 이분은 옵션가가 2.3 달러 인가 그정도로 기억함.

5. ceo 발표함 라이다 스팩- 마비의 라이다는 솔리드 스테잇 라이다이다(반도체 제어 ). 최근 핫한 루미나의 라이다가 모터랑 벨트 풀리(기구제어) 회전하는 라이다라는거 알고 있냐? 자동차 업계에서 요구하는 스팩중 중요한게 20 무고장이다. 수명이 20년인거 감안하면 당연한 스팩인데. 벨트랑 풀리로 20년동안 어찌 쓰냐.

그래서 솔리드 스테잇이 각광받고 있고 루미나도 2022년에 솔리드 스테잇을 내놓는다고 발표했는데 얘들 특허 읽어보면 알겠지만 구조가 엄청 복잡하다. 레이저 관리하는 미러도 엄청 많고. 아마 특허 피해서 만드느라 나중에 들어온 회사들은 불리할수밖에 없다.

마비 ceo 따르면 현재 티어 oem 라이다 작업중에 있다 단독으로 만드는게 아니라 계속 업계의 피드백을 받아가면서 만들고 있고 그쪽에서 필요한 필수 스팩들을 받았는데 그것들을 모두 만족하는 라이다가 내년 5 샘플완성 예정이다.

참고로 현재 컨수머 라이다(가정용) 이미 완성되서 기술 제품 보유중임. 스팩도 상당히 좋아서 이것만 봐도 차량용 라이다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중. 개뿔도 없이 우리 라이다 할거야 라고 하는 회사는 아닌것이다.

6. 최근 기관 매수가 많이 들어왔다.

얘기 내가 기억하기로는 몇달전만해도 기관 보유율이 10프로가 안넘었던걸로 기억하는데 숏스퀴즈 닷컴에 따르면 현재 24프로로 2배가 넘게 늘었다. 아마 사이트마다 표시가 다를건데 업데이트되는 시간때뭄에 그럴거다. 만약 24프로가 사실이라면 이번주 미친듯한 렐리가 이해가 된다.

7. IP 포트폴리오가 어마어마 하다. 기술력도 있다

한국말로 저작권이나 특허? 이런건데 특허관리 하는곳에서 공식발표한게 마비가 top 50 strong ip 포트폴리오 회사로 선정될 정도로 30년간 모은 특허가 어마어마 하고 지금도 계속 ar 라이다 특허가 나오고 있다. 그리고 2020 ces에서 베스트 기술 받았을거다. 그때 받은게 터치가 되는 프로젝터 디스플레이인데 얘도 회사에서 보유한 기술중 하나다. 근데 다른게 워낙 크다보니 마이너 취급 받는중.

8. 개미 주주 친화적이다.

얘들이 어닌발표 후에 하는게 fireside chat이라고 개미 대주주 초청해서 사장 부사장이랑 .지하게 미팅을 한다. 회사의 미래. 본인들의 기술. 시장등에 대해 토론하고 최근에 한게 3시간이 넘도록 토론이 진행됐다고 한다. 주로 라이다에대해 얘기 나눴는데 마비 라이다의 스펙. 강점 타회사보다 우위인내용. 시장에서 원하는게 뭔지. 마비가 그걸 어떤식으로 만족할지 등등 지난 어닝때는 2시간동안 ar 대해 얘기 했을정도로 기술과 시장에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자세한 내용 보고싶으면 레딧 mvis 게시판에 가보면 fireside chat 2 3 한번 읽어보면 된다. 참석했던 주주들이 상세하게 적어놨음.
9.
예상가치 평가

현재 주당 5달러 시총 0.75B인데 루미나가 시총 8B 벨로다인이 시총 3B정도 일거다. ar쪽은 비교할 회사가 전무한 편이라 가치판단이 어렵다 다만 마소에서 발표한 시장예측이 3 50B 매출규모라도 발표함

10프로만 먹어도 매출 5B 시장이고 폭발적으로 예정. 알다시피 AR글래스는 작고 가볍고 저전력인 디스플레이 모듈이 핵심이고.

최근 들어오는 라이다 spac회사들이 기본 2B 받고 오는거 보면 지금 주당 5달러도 얼마나 저평가 되어있는지 알수있다. 거기다 AR시장은 앞으로 미래의 컴퓨팅이라고 불리는 시장이고 폭발적으로 성장할 분야이다.

보수적으로 인수가격 주당 18 시총 3B 달러 예상하고 있는데 커뮤니티에서는 5~10B 예상하는게 기본이다. ar 모듈 라이다 외에 터치스크린 프로젝터와 가정용 라이다 제품 보유중. 모두 구글이나 애플 아마존 마소의 스마트 시스템과 어울리는 라인업이라 합병된다면 자동차쪽 혹은 빅테크 쪽으로 무게가 실리는데 연합전선으로 공동인수도 예상된다.

30 동안 연구해온게 드디어 시기를 만났다고 본다. 라이다와 AR이라는 분야가 드디어 폭발하기 시작했고 레이저 제어 mems 마비의 전문분야인데 이쪽에서 가장 유리한 포지션을 잡고 있다.

추가 : 아마 주식 가격이 올라간다면 지난 주와 마찬가지로 완만한 상승보다는 급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회사가 발행한 주식이 150M 밖에 안되는데 이걸들고있는 고인물 개미들은 다들 인수만 바라보고 시장에 주식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시장에 흘러다니는 주식이 소량밖에 없습니다. 아마 앞으로점점 줄어들걸로 보입니다. 어차피 최종가격은 인수회사가 제시한 가격이 될거라 아무도 현재가격에는 신경을 안쓰는 분위기 입니다